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DA 이용자 과업과 개념모형

by 샤베시 2023. 1. 12.
반응형

1. RDA 이용자 과업

이용자과업(tasks)은 도서관 목록이나 서지를 탐색하거나 이용할 때 이용자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반적인 일이다.

입수과정에 일어나는 일이나 정보탐색을 말한다.

여기에서 핵심모델은 서지정보를 조직하고 이용하는 서지세계(bibliographic universe)를 반영한 모델인 서지레코드의 기능상 요건(FRBR)과 FRBR 모델의 실현을 위해 적용되는 확장 모델인 전거데이터의 기능상 요건(FRAD)을 핵심으로 한다.

 

FRBR의 이용자과업은 발견(find), 식별(identify), 명확화(clarify), 이해(understand) 이것은 RDA 초안에서 언급되고 있는 이용자 과업이지만 이 과업은 FRAD 초안( 2007년 4월에 제정된 FRAD를 말한다.

그러나 2009년 2월에 간행된 FRAD 모형에는 발견(find), 식별(identify), 맥악의 관련성(contextualise), 설명(justify)의 4개로 변형되었다.

 

자원과 관련된 개체(개인, 가족, 단체, 개념 등)를 기술하기 위해 RDA를 사용하여 생성한 데이터는 다음의 과업을 수행하는 이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작성된다.

 

1) 발견(find)은 특정 개체와 그 개체에 관련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는 일이다.

 

2) 식별(identify)은 기술된 개체가 발견한 개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일 혹은 유사한 이름을 가진 둘 혹은 그 이상의 개체 간을 구별하는 일 등이다.

 

3) 확인(clarify)은 둘 혹은 그 이상의 개체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 혹은 기술된 개체와 그 개체로 알려진 이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일이다.

 

4) 이해(understand)는 특정 이름이나 표제 혹은 이름이나 표제의 형식이 왜 개체의 선호 이름이나 표제로 선택되었는지 이해하는 일이다.

 

2. 개념 모형

1) FRBR은 RDA에서 취급하는 자원을 기술하는 데이터 요소는 FRBR에서 정의한 개체로서 일반적으로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와 관련된 속성과 관계에 영향을 받는다.

 

2) FRAD: RDA에서 다루는 자원과 관련된 개체를 기술하는 데이터 요소는 일반적으로 FRAD에서 정의된 개인, 가족, 단체, 장소 개체와 관련된 속성과 관계를 말한다. FRAD에서 규정하고 있는 개체는 다음과 같다.

 

(1) 인명, 가족, 단체명으로 알려진 이름

(2)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의 알려져 있는 표제

(3) 개념, 대상, 사건, 장소로 알려져 있는 이름이나 용어

(4) 실제이름, 익명, 종교적 이름, 이니셜, separate letters, 숫자, 기호 등

 

3. AACR과 RDA

1) AACR2와 연속성

AACR과 RDA는 동일한 관리체제를 유지한다.

JSC는 처음에 AACR2로 목록환경이 요구하는 변화를 이끌어 내기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으나, AACR2에 많은 가치가 있음을 인식하고, AACR2의 목록전통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JSC는 FRBR/FRAD 개념모델의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용어의 개념이나 목적은 AACR2와 동일하다.

RDA로 생성한 레코드와 AACR2로 작성한 레코드가 공존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는 기존 레코드에 새로운 기술요소를 추가함으로 가능하다.

RDA는 AACR2에서 AACR3로의 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FRBR, FRAD 개념 모델과 일치하고, 규칙의 전체적인 기원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RDA는 새롭고 논리적으로 개념모델에 적합한 이론적 구조틀이다.

 

2) AACR2와 차이점

 

구조의 측면에서 AACR2는 기술과 접근접으로 나뉘는데 RDA는 속성과 관계로 구분된다.

기술 수준에서 RDA는 1~3 수준을 정의하는 대신에 핵심요소를 규명하였다. 핵심요소의 결정은 FRBR, FRAD 분석에 기반하고 있다.

AACR2는 자료 유형으로 장이 구분되지만 RDA는 이를 통합하고 모든 유형의 자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포괄적이다.

 

3) AACR2R와 RDA의 용어의 차이점

 

(1) 표목(heading) - 접근점(access point)

(2) 부출기입(added entry) -접근점(access point)

(3) 통일표제(uniform title) - 저작의 채택표제(preferred title for the work)

(4) 통일표목(uniform heading) - 전거형 접근점(authorized access point)

(5) 보라참조(see reference) - 이형 접근점(variant access point)

(6) 도보라 참조(see also refiernce) - 관련 개체에 대한 전거형 접근점(authorized access point for the related attributes)

 

4) 본표제

정보원의 본표제가 오자가 있는 경우 AACR2R에서는 그대로 기재하고, [sic]를 부기하거나 i, e를 각괄호에 넣어 바른 꼴로 부기한다.

RDA에서는 정보원에 나타난 그대로 기록하고, 식별이나 접근에 중요하다고 생각될 경우 수정된 표제를 이형표제로 기록한다.

 

5) 자료유형표시(GMD)

AACR2R에서는 자료의 내용과 매체 등을 혼용하고 있지만, RDA에서는 매체유형, 수록매체유형, 내용유형 등으로 개념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