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DA의 특성과 이로운점

by 샤베시 2023. 1. 18.
반응형

1. RDA의 특성

1) FRBR 및 FRAD를 기반으로 한다.

(1) 전체적인 이론적 기반을 FRAD와 FRBR에 두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2) RDA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과업은 1. 정보탐색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과업, 2 서지기술을 통한 이용자의 정보탐색 지원(FRBR), 3 자원과 관련된 개체에 대해 그 속성을 명확히 하여 이용자 과업을 지원하는 것, 4 서지정보의 제어를 통한 탐색을 지원하는 것(FRAD)이다.

 

2) 자원의 물리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구분

(1) AACR2R에서는 자원 유형별로 목차가 구성되어 있지만, RDA에서는 기술요소별로 되어있다.

(2) 그동안 목록규칙에서 구분하고 있는 자료유형은 편의적, 비논리적이고, 구분의 기분이 내용유형, 매체유형, 수록매체 유형 등의 개념으로 혼재한다.

(3) RDA에서는 지금까지의 자료유형표시를 기재하지 않고 대신에 물리적 측면인 매체유형과 수록매체유형, 내용적 측면인 내용유형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자료의 물리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구분하여서 기술하였다.

AACR2: 자원 유형별로 장이 구성, 자원유형이 혼재되어 있다.

RDA는 기술요소별로 구성, 물리적 측면이 매체유형과 수록매체 유형, 내용 측면인 내용유형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내용유형(MARC21: 336): 23종

내용유형(content type)은 표현된 내용과 인간의 지각을 통해 그것을 인지하는 커퓨니케이션의 기본적인 형식을 반영한 것이다.

화상형식으로 표현된 내용에 대해서는 인지해야 할 내용의 공간적 차원 수와 움직임의 유무도 반영한다.

 

매체유형(MARC21: 337): 매체유형(media type)은 자원의 내용, 감상, 재생, 운영 등을 위해 필요한 일반적인 중개장치의 유형을 반영하고 있다.

 

수록매체(MARC21: 338)

수록매체유형( carrier type)은 자원의 내용 감상, 재생, 운영 등을 하는데 필요한 중개 장치의 유형과 결합하여 저장매체와 수록형식을 반영하고 있다.

자료의 보관 형태와 수록형태에 따라 46종으로 구분한다.

 

3) 기술과 접근을 분리하지 않음

AACR2R에서는 자료의 식별을 위한 기술부와 자료검색의 수단 또는 문헌집중을 위한 표목부(접근점)라는 구조로 규칙이 되어 있었지만 RDA에서는 목록기능에 있어 기술과 접근을 분리하지 않고 있다.

 

자료의 식별과 자료의 검색이라는 기능분담을 제거되고, RDA에서는 구형형과 개별자료 속성을 기록하는 것으로 자원의 탐색, 발견, 식별, 선택, 입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FRBR모형은 서지레코드가 완수해야 할 기능과 데이터 요소를 이용자 요구와 연결시켜 정의하여 구조화한 것이다.

 

AACR2의 기술=자료의 식별과 표목=자료검색의 수단 또는 문헌집중이라는 기능분담은 제거되었다.

 

저작과 표현형의 속성을 기술하여 문헌집중 기능이 높아지고 관련 있는 자원 파악과 식별, 나아가 이용자 요구에 보다 적합한 자원 선택이 가능하다.

 

개체 간의 관계를 기술하여 이용자 목록이나 서지데이터베이스의 내비게이트를 향상한다.

 

RDA는 이용자 과업을 지원할 데이터 구축을 위한 포괄적 지침으로 종래 목록의 기능을 재구축한 것이나 다름없다.

 

4) 접근점이라는 용어사용과 기본기입 개념의 유지

 

기본표목 개념: 종래의 목록법에서 전제가 되고 있는 방식을 RDA에서 완전히 제거했다고 볼 수는 없다.

종래 통일 표목에 해당하는 전거형 접근점과 참조에 해당하는 이형접근점에 의해 기본표목의 개념이 유지되고 있다.

채택표제나 채택저자명을 전거형 접근점으로 기술하여 저작의 집중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부출표목은 다른 자원과의 관계를 기술함으로써 구체화된다.

 

5) 의미적 측면과 구문적 측면의 분리

AACR2R을 비롯한 지금까지의 목록규칙은 구문기호번으로 대표되는 구문적 측면의 규칙을 의미적 측면의 규칙과 함께 다루어왔다.

RDA에는 AACR2R가 가지고 있던 구문적 측면을 규칙에서 배제하고 의미적 측면으로 특화하여 설계하였다.

ISBD의 구분기호나 요소 배열은 규칙자체에는 나타나있지 않으며, 부록 ISBD나 MARC21 형식과의 매핑을 통해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6) 기존의 규칙에 비해 식별요소의 대폭 증가

 

기존의 AACR2R에 비해 기록요소가 크게 늘어났다.

종래의 목록규칙에서는 주기나 기타 형태적 세목에서 기록되던 것을 RDA에서 독립적인 요소로 정의함으로써 요소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7) 요소별 기록데이터의 제시로 선택입력이 가능: 식별 요소마다 기록할 데이터의 용어를 대부분 범주화하여 리스트로 제공함으로써 선택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 RDA 적용의 이로운 점

1) 개발의 초점이 이용자에 맞추어져 있다.

RDA의 목표는 이용자를 도울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들고 기록하는 것이다.

RDA는 FRBR과 FRAD의 개념적 모델을 적용하여 개개인의 속성과 관계가 어떻게 이용자 과업을 지원할 수 있는지 보여주고, 실현하고자 하고 있다.

 

2) 탐색과 표현방식을 향상한다

RDA는 서지기술의 내용 표준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어떻게 기술하여야 하는지 지침과 방법을 제공한다.

기술할 데이터는 명확하게 식별된 데이터 요소를 구분하여 충분한 데이터를 기술하도록 하고 있다.

 

3) 정확하게 정의된 데이터요소를 생성한다.

RDA에서 기록하는 대부분의 데이터는 AACR2R에서 사용하는 것과 일치한다.

AACR에서 기록하는 데이터는 개별성과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비하여 RDA는 수록매체 기술 부분에서 AACR2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탐색과 내비게이션을 보다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4) 관련정보를 함께 배열할 수 있다.

이용자가 정보탐색 결과 관련 자원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정보를 군집화 할 수 있다.

검색된 결과의 집합 내에서 자원 간의 관련성을 식별하여 군집하고 배열한다면 보다 이상적이다.

 

5) 적용범위를 확대하였다.

AACR2는 국제적인 규칙이었지만, 명확히 영미중심의 서지기술 규칙이었다.

RDA는 영미 중심이 아닌 국제적 표준으로 개발되었다.

 

6) 서지기술의 혼란을 제거할 수 있다.

RDA는 서지기술에 약어를 사용하지 않고 자원에 기술된 그대로 서지기술을 하는 것은 이용자들이 서지정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혼란을 줄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