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FRAD의 계층관계

by 샤베시 2023. 1. 10.
반응형

1.FRAD의 계층관계

1) 테마-테마 관계에서 계층관계란 계층 구조는 개념이나 개념이 속한 클래스 간의 관계를 제시한다.

계층 관계는 상위 관계나 하위관계의 정도나 수준을 나타내며, 이때의 상위 어는 개별 클래스나 전체를 나타내고, 하위 어는 해당 클래스의 구성 요소나 전체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계층 구조는 분류표나 주제명표, 시소러스 등에서 이용한다

서지세계에서 계층 관계는 이용자의 과업인 식별을 위한 중의성 해소기능을 제공한다.

계층 관계는 추가적인 연계와 향해를 제공하고, 선정이나 탐험과 같은 이용자 과업을 충족시켜서 특히 탐험 과업에 효과적이다.

계층 관계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거나 지나치게 광범위한 정보 요구를 가진 이용자에게 도움을 주며, 이용자의 탐색 능력을 향상한다.

 

숙종관계는 놀리적인 포섭(inclusion) 관계이다. 계층 관계의 일차적 기능은 상세성(specificity)의 수준이 상이한 동일 개념을 전달하는 것이다, 모든 앵무새는 새이고, 새의 일부는 앵무새이다. 그러나 모든 앵무새가 애완동물은 아니므로, 논리적으로 양무새와 애완동물 간에는 숙종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2) 전체-부분관계는 하나의 개념이 맥락에 관계없이 본질적으로 다른 개념에 포섭되어, 각 개념들이 계층으로 조직되는 경우이며, 이때 전체를 상위어로 간주한다. 해부학에서 혈관은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의 일부이다.

 

사례관계는 보통명사로 표현되는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일반 클래스와 고유 명사로 표현되는 해당 범주의 개별 사례 간에 존재하는 링크를 식별한다. mydoom과 iloveyou는 고유명사로 표현된 컴퓨터바이러스의 두 가지 개별 사례이다.

 

다중 계층 관계는 일부 개념은 동시에 둘 이상의 상위 개념에 속할 수 있는데, 이를 다중계층 관계라고 한다. 이관계는 관악기 계층 구조와 건반악기 계층 구조에 모두 속할 수 있는 악기인 오르간과 같이 숙종 관계이거나, 생물학의 일부이면서 화학의 일부이기도 한 생화학과 같이 전제-부분 관계로서 뼈와 머리의 관계 둘 이상의 관계를 가질 수도 있다.

 

기타 계층 관계는 기타 계층 관계는 앞서 설명한 계층 구조에 비해서는 논리적이지 않지만, 주제전거 도구에서 자주 나타난다. 이 관계는 부분적으로 문헌 근거(literary warrant, 대상의 내용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 자연어)나 이용자 근거(user warrant, 이용자의 언어) 심지어는 조직 근거(organizational warrant, 조직의 요구와 우선순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관계는 특정 개념과 그 개념이 속한 측면(aspect)에 대한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3) 연관관계는 계층 구조는 아니나 의미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동시에 출현하는 테마 간의 연계성을 포함한다. 테마 간의 연관 관계는 몇몇 주제전거 도구에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연관 관계의 링크는 상이한 계층에 속한 테마나 특정 계층 수준에 위치한 동일한 배열(array) 내에 있는 중복된 테마 간에 성립된다.

 

의미관계에 대한 상이한 접근 방식은 관련 문헌이나 실무에서는 의미관계 유형을 구분하는데 상이한 접근 방식이 사용되었다. 주제 관계의 나타내기 위한 택사노미가 1996년에 구축되어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ies association, ALA) 회의에서 배포되었는데, 100개 이상의 연관 관계와 26개의 계층 관계가 수록되어 있었다.

 

4)노멘-노 멘 관계

등가 관계는 노멘의 등가관계는 주제 접근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두 개의 오멘이 동일한 테마를 가리키는 명칭이라면, 그 노멘들은 대등하다. 단일 언어로 제어어휘 내에서 대당관계는 5가지 일반적인 상황으로 나타난다.

 

2개의 노멘이 동의어인 경우와 2개의 노멘이 유사 동의어인 경우, 2개의 노멘이 한 어휘의 변화형인경우, 특정 노멘이 지나치게 상세해서, 넓은 범위의 다른 노멘으로 표현한것, 특정 노멘이 지나치게 상세해서 둘 이상의 용어를 조합하여 표현한 것(복합 등가 관계 compound equivalence)으로 알려졌다.

 

등가 관계가 정확한 등가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제어어휘집을 보면, 부정확하거나 부분적인 등가 관계가 자주 발견된다. 실제로 다중계층관계와 기타 계층관계에서 언급된 노 멘들은 서로 다른 테마를 표현한다. 그러나 일부 제어어휘집에서는 이러한 노멘들이 채택된 용어와 그 이형으로 연결되어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된 노멘들이 동일한 테마를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게다가 동등 관계는 상이한 언어로 되어 있거나 서로 다른 체계에 속한 노멘 간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iron'(영어)과  zelezo(슬로베니아어), fe(화학 기호)는 모두 동일한 금속을 가리키는 노멘이므로 대등하다고 간주된다.

 

전체 부분관계는 전체 부분 관계는 노 멘 간에도 존재, 하나의 오멘이 하위 구성요소(부분)를 가질 수 있다. 구성요소는 그 자체로 노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러한 노멘의 구성은 패싯분류표의 인용순서나 주제명표의 세목 배열 순서와 같은 규칙에 따라 이루어진다.

 

2.RDA의 개요

RDA(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2010)의 개발은 기존 영미목록규칙(AACR 2002년 개정판)을 제3판으로 수정하는 일로부터 시작되었다.

 

RDA는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을 위해 고안한 서지기술의 표준으로 나타난 산물이다.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기반하고, 디지털환경에 맞도록 고안되어 AACR2보다 그 적용범위가 넓고 AACR2의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자원기술의 표준이다.

 

AACR2보다 철학적이고 논리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하면서 오로지 이용자에게 초점을 두고 이용자 과업(user tasks)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되었다.

 

1961년 파리원칙(ICCP, pais principles)을 개정한 2009년의 국제목록원칙(statement of international cataloguing principles)을 반영한 것으로서 표준 자체에 철학적 사상이 내재되어 있다.

 

RDA에서는 도서관이나 문헌정보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목록이나 서지기술과 같은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새로운 표준의 모양이나 구조, 내용을 정의하는 이론적인 틀에 바탕을 두고 개발되었다.

 

서지 및 전거데이터의 개념 모형에 대한 준거와 데이터 기록과 같이 표시의 분리를 구체화하여 디지털세계를 위해 설계된 새로운 표준이 RDA이다.

 

RDA는 내용표준으로 인고등학생 스키마나 표현 스타일에 제한받지 않아, MARX, DC, MODS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AACR2에서 문제 되어온 자료의 내용과 용기에 대한 일관된 접근을 하고 있다.

 

RDA는 데이터 기술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자원발견에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 도서관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에 맞게 사용가능하다.

 

반응형

댓글